- 처음화면
- 연계사이트
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
동학농민혁명종합지식정보시스템은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에서 2005년부터 2009년에 걸쳐 제작한 동학농민혁명 자료의 종합 데이터베이스로서 위 위원회가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으로 계승됨으로써 현재는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에서 운영되고 있다. 아래는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동학농민혁명종합지식정보시스템에 대한 설명이다.
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
동학농민혁명은 봉건사회의 부정ㆍ부패 척결 및 반외세의 기치를 내걸었던 대규모 민중항쟁으로 19세기 후반 우리나라와 동아시아의 국제 질서를 변화시키고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하는 과정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. 의병활동, 3.1운동, 4ㆍ19혁명, 광주민주화운동의 모태로서 오늘날 평등사상과 민주주의 사회의 지평을 연 근대 민족사의 대사건이었습니다.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는 2004년 3월 5일 동학농민혁명참여자등의명예회복에관한특별법이 제정된 이후 동법 제3조 및 동법 시행령 제2조에 따라 국무총리 소속으로 2004년 9월 17일 설치되었습니다. 이에 따라 본 위원회는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와 그 유족에 대한 명예회복 및 기념사업 등을 추진하여, 유족등록, 자료 조사,수집 및 연구 사업 등을 진행 하였습니다(2009년 12월 위원회 활동 종료, 2010년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으로 승계).
동학농민혁명종합지식정보시스템 (http://www.e-donghak.or.kr)동학농민혁명 연구논저 목록
- 해방이후부터 2005년까지의 동학농민혁명의 연구성과를 단행본, 일반논문, 학위논문, 외국논문으로 분류하여 목록들을 수록하였습니다. 단행본 307종, 일반논문 1,320종, 학위논문 285종, 일본논저 194종, 중국논저 1,350종입니다.
동학농민혁명 자료마당
- 기존에 간행된 『동학농민전쟁사료총서』에 수록된 사료들이 해제와 함께 이미지로 제공됩니다. 총 164종으로 개인 및 정부자료, 일본 자료 및 동학 관련 사료들까지 망라되어 있습니다. 향후 문헌자료 조사·수집을 통해 정리된 자료들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입니다.
동학농민혁명 증언록
-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97명에 대한 후손들의 증언입니다. 후손들은 대부분 동학농민혁명의 참여자로부터 3, 4대째 내려옵니다. 그들은, 반란군의 멍에 속에서 오랫동안 숨겨졌거나 희미해진 기억들을 되살렸습니다. 이 속에는 동학농민혁명의 주인공들의 용기 있는 항쟁과 처절한 죽음, 후손들의 고난했던 삶의 이야기들이 고스란히 담겨있습니다. 향후 유족등록 및 참여자 조사를 통해 수집된 풍부한 증언 내용들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입니다.